써보자 AI

ComfyUI 필수 프로그램 및 Manager, 필수 노드 설치 방법

Se7enDayz 2025. 7. 14. 14:50
반응형

지난 글에서 ComfyUI 설치방법과 필요성에 대해 글을 올렸다.

설치방법과 설명이 궁금하다면 ComfyUI소개글 을 읽어보길 추천한다.

 

ComfyUI를 설치했다면 이제 다양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도록 몇 가지 필수 프로그램과 노드들을 설치해야 한다. 기본 설치만으로는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확장 노드를 설치해주는 과정이 꼭 필요하다.

 

 

 

 

반응형

우선 외부프로그램 두가지를 설치해야한다. pythongit 이다.

 

 

1. Python 3.10 설치

 

만약, ComfyUI를 Portable로 설치했다면 ComfyUI폴더에 "python_embeded" 폴더가 있는지 확인해본다. 폴더가 있다면 그 폴더로 이동한 후 Python의 버전을 확인해야한다.

주소표시줄에 "cmd"를 입력하면 마지막에 접속한 폴더의 경로에서 콘솔창이 실행된다.

"python -v" 를 입력해서 python의 버전을 확인한다.

버전이 3.10으로 나오면 python은 제대로 설치가 된 것이다.

 

하지만 버전이 다르다면 3.10으로 바꿔줘야한다.

ComfyUI는 Python 3.10 버전에서 작동하도록 개발되었다. 다른 버전은 오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3.10 버전을 설치해야 한다.

 

ComfyUI를 설치버전으로 설치했다면 
https://www.python.org/downloads/release/python-3109/ 에서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한다.
- 설치 시 "Add Python to PATH" 항목을 반드시 체크한다.
- 설치 후 명령 프롬프트(cmd)를 열고 `python --version` 명령어로 버전을 확인한다.

 

ConfyUI를 포터블로 설치한 경우 ComfyUI폴더에 있는 "pythone_embeded" 폴더를 삭제한다.

http://www.python.org/ftp/python/3.10.6/python-3.10.6-embed-amd64.zip 이곳에서 파일을 다운받은 후에

"pythone_embeded" 이 폴더를 생성하고 이곳에 압축파일들을 복사한다.

 

 

 

 

2. Git 설치

ComfyUI의 확장 노드들을 설치할 때 Git이 필요하다. Git은 외부 저장소의 코드를 복사해오는 데 사용된다.

https://git-scm.com/downloads 에서 운영체제에 맞는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한다.
- 설치 과정에서는 별도 설정 없이 기본값으로 설치를 진행한다.
- 설치 후 명령 프롬프트에서 `git --version` 명령어로 설치 여부를 확인한다.

 

반응형

 

이제는 ComfyUI의 내부 플러그인같은 노드를 설치해야한다.

설치하지 않아도 무방하지만 설치한다면 두고두고 쓸일이 많은 것들이다.

 

1. ComfyUI Manager 설치

ComfyUI Manager는 노드를 UI를 통해 간편하게 설치하거나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확장 도구다. 
이건 ComfyUI사용자라면 거의 무조건 설치한다고 봐야한다.

설치 방법은 다음과 같다.

- ComfyUI 설치 경로로 이동한다. 예: `C:\ComfyUI_windows_portable\ComfyUI`
- 해당 경로 안에 `custom_nodes` 폴더가 있어야 하며, 없을 경우 새로 생성한다.

- 위에서 설명한 주소표시줄에 "cmd"를 입력하고 명령 프롬프트에서 다음 명령어를 입력해 설치한다.

 

 git clone https://github.com/ltdrdata/ComfyUI-Manager.git

 

- 설치가 완료되면 ComfyUI를 실행했을 때 상단 메뉴에 'Manager' 탭이 생긴다.

 

 

2. 필수 노드 설치

다양한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꼭 설치해두어야 할 필수 노드들이 있다. 아래 노드들은 거의 대부분의 워크플로우에서 사용된다.

조금전 설치한 매니저를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뜬다.

Custom nodes manager를 클릭해서 아래 노드들을 검색해서 설치하면 된다.

반응형

 

 

다른 설치방법도 있다. Comfyui manager를 설치한 방법으로 ComfyUI\custom_nodes\폴더로 이동후 cmd 터미널창을 통해 각 노드를 git 명령어로 설치해주면 된다.

 

 

1) ComfyUI-Impact-Pack

이미지 병합, 업스케일, 텍스트 조작 등 다양한 고급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git clone https://github.com/ltdrdata/ComfyUI-Impact-Pack.git

 


2) ComfyUI-Custom-Scripts

사용자 편의 기능과 다양한 이미지 조작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git clone https://github.com/WASasquatch/ComfyUI-Custom-Scripts.git

 


3) comfyui_controlnet_aux

ControlNet 기능을 강화해주는 확장 노드다. Depth, Canny, OpenPose 등의 모델을 활용할 수 있다.

git clone https://github.com/Fannovel16/comfyui_controlnet_aux.git

 


설치 후 해당 노드가 사용하는 모델 파일들을 별도로 다운로드하여 `models/controlnet` 폴더에 넣어야 한다.

4) ALPHA Prompt Translator

WebUI 스타일의 텍스트 프롬프트를 ComfyUI 노드로 자동 변환해주는 도구다.

git clone https://github.com/Kosinkadink/ComfyUI-ALPHA-Prompt-Translator.git

 

 

 

반응형

 


- 모든 노드를 설치한 후에는 ComfyUI를 반드시 재실행해야 한다. ComfyUI manager를 실행하고 restart를 눌러 서버를 재시작한 후 페이지를 새로고침하면 된다.
- Manager를 설치한 경우, Manager 탭에서 'Update All' 기능을 통해 노드들의 업데이트도 가능하다.
- 오류가 발생하거나 작동하지 않는 노드가 있다면 해당 노드 폴더를 삭제하거나 GitHub 이슈 페이지를 확인한다.


이상으로 ComfyUI를 제대로 사용하기 위한 필수 프로그램과 노드 설치 방법을 정리했다. 다음 글에서는 실제로 노드를 조합해 이미지를 생성하는 예제 워크플로우나 모델 설치 방법 등을 다룰 예정이다.

반응형